2025 한국 연령별 평균 연봉은 얼마? – 나이대별 월급 통계 비교 분석
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이야기

2025 한국 연령별 평균 연봉은 얼마? – 나이대별 월급 통계 비교 분석

by 제제씨 2025. 5. 15.
연령에 따른 평균 연봉은 커리어 설계의 중요한 기준입니다. 본 글은 국세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25세부터 55세까지의 연령별 평균 연봉을 분석하였습니다. 본 데이터는 실제 근로소득자들의 연봉 신고 기준을 기반으로 한 자료이며, 각 연령대별 평균 소득 추이를 파악하고 커리어 설계에 참고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개인의 경력과 직무, 산업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기준점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알바, 무직자는 통계에서 제외

 

직업 평균 연봉 1억 이상 대기업 순위

 

2025 한국 연령별 평균 연봉은 얼마?
2025 한국 연령별 평균 연봉은 얼마?

25세부터 30세까지

해당 연령대는 대부분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시기로, 신입사원 또는 경력 1~3년 차가 포함됩니다. 평균 연봉은 다음과 같습니다.

 

  • 25세: 약 2,296만 원
  • 26세: 약 2,438만 원
  • 27세: 약 2,786만 원
  • 28세: 약 3,185만 원
  • 29세: 약 3,487만 원
  • 30세: 약 3,723만 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경력이 누적되며, 평균 연봉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특히 30세 전후 시점부터는 연봉이 3천만 원을 넘어서는 경향이 뚜렷해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대리급 직책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1세부터 40세까지

 

이 시기는 직장 생활의 중간 단계로, 실무 경험이 충분히 축적되며 팀을 이끄는 역할까지 맡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연령대의 평균 연봉은 다음과 같습니다.

 

  • 31세: 약 3,979만 원
  • 32세: 약 4,226만 원
  • 33세: 약 4,431만 원
  • 34세: 약 4,570만 원
  • 35세: 약 4,776만 원
  • 36세: 약 5,019만 원
  • 37세: 약 5,224만 원
  • 38세: 약 5,456만 원
  • 39세: 약 5,679만 원
  • 40세: 약 5,886만 원

40세 시점을 기준으로 평균 연봉은 약 5,800만 원대에 이르며, 이는 팀장급 또는 중간관리자급 포지션에서 기대되는 보상 수준입니다. 실무능력뿐 아니라 리더십과 프로젝트 책임 여부에 따라 연봉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1세부터 50세까지

해당 연령대는 커리어에서 가장 안정적인 시기이자, 보상 수준이 정점에 도달하는 구간입니다. 연차에 따른 직위 상승뿐 아니라 업무 숙련도와 네트워크 효과가 연봉에 반영되며, 평균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41세: 약 6,059만 원
  • 42세: 약 6,162만 원
  • 43세: 약 6,285만 원
  • 44세: 약 6,378만 원
  • 45세: 약 6,662만 원
  • 46세: 약 6,642만 원
  • 47세: 약 6,798만 원
  • 48세: 약 6,885만 원
  • 49세: 약 6,867만 원
  • 50세: 약 7,001만 원

50세 시점에 평균 연봉이 7천만 원을 초과하며, 이는 기업의 부장~임원급 포지션 또는 고연차 전문직 종사자에게서 확인되는 수치입니다. 이 시기에는 직무 지속성과 건강, 은퇴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커리어 관리가 필요합니다.

 

51세부터 55세까지

연령이 50대에 진입하면 조직 내 구조조정, 퇴직 전환, 은퇴 준비 등의 요소로 인해 연봉 상승세가 둔화되거나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평균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51세: 약 6,357만 원
  • 52세: 약 6,903만 원
  • 53세: 약 6,867만 원
  • 54세: 약 6,654만 원
  • 55세: 약 6,982만 원

이 시기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의 연봉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으나, 점진적인 축소나 직무 변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봉보다 전체적인 자산 및 재무 설계가 더욱 중요한 시기로 판단됩니다.

 

직업 평균 연봉 1억 이상 대기업 순위

 

연령별 연봉 통계표

나이 출생연도 중위연봉(만원)
25 2000 2296
26 1999 2438
27 1998 2786
28 1997 3185
29 1996 3487
30 1995 3723
31 1994 3979
32 1993 4226
33 1992 4431
34 1991 4570
35 1990 4776
36 1989 5019
37 1988 5224
38 1987 5456
39 1986 5679
40 1985 5886
41 1984 6059
42 1983 6162
43 1982 6285
44 1981 6378
45 1980 6662
46 1979 6642
47 1978 6798
48 1977 6885
49 1976 6867
50 1975 7001
51 1974 6357
52 1973 6903
53 1972 6867
54 1971 6654
55 1970 6982

 

마치며

전반적으로 대한민국의 평균 연봉은 연령 증가에 따라 상승하다가 40대 후반~50대 초반에 정점을 기록한 후 다소 완만한 형태로 유지됩니다. 이는 직장인의 보상 구조와 기업 내 인사 시스템, 직무 수요에 따른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본 자료는 현재 자신의 연봉이 과연 적정한지 고민 중인 분들, 이직 및 재직 전략을 세우고 있는 분들, 그리고 중장기 커리어 설계를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기준선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이 통계는 어디까지나 평균값이므로, 개인의 역량, 산업군, 근무 지역에 따른 변수는 를 고려하여 자료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1억 모으기 방법: 1년, 3년, 5년 기간별 현실적인 재테크 방법 총정리

 

1억 모으기 방법: 1년, 3년, 5년 기간별 현실적인 재테크 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많은 분들이 꿈꾸는 '1억 모으기'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1억이라는 목표, 과연 얼마나 걸릴까요? 1년, 3년, 5년으로 기간을 나눠 각각의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

darakstorys.tistory.com

 

억대연봉을 받는 대기업: 직원 평균 연봉 1억 이상 대기업 순위

 

억대연봉을 받는 대기업: 직원 평균 연봉 1억 이상 대기업 순위

최근 대기업 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어서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이러한 기업은 소수에 불과했지만, 고물가와 경기 침체 속에서도 대기업 직원들의 연봉은

darakstorys.tistory.com

 

2024 국내 부자 순위 TOP 10 : 우리나라 1위 부자는 누구?(포브스 선정)

 

2024 국내 부자 순위 TOP 10 : 우리나라 1위 부자는 누구?(포브스 선정)

2024년 대한민국에서 제일 재산이 많은 부자 1위는 누구일까요? 글로벌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인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셀트

darakstorys.tistory.com

 

댓글


TOP

wisdom@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