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간으로 5월 2일 새벽 3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연 5.25~5.50%의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동결하였습니다. 이는 기준금리 6회 연속 동결로 2024년 금융 시장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했는데요. 이번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회의 결과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은 뉴욕증시의 혼조세와 채권금리의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번 FOMC의 결정과 금리 전망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5월 FOMC 결과 기준금리 동결
연준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연 5.25~5.50%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한국 기준금리와 사상 최대인 2%포인트의 격차를 유지한 것입니다. Fed는 2022년 3월부터 10회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는데요. 작년 6월, 1년 3개월 만에 금리 인상을 멈추고 이후 7월에 0.25%포인트 올린 5.50%로 현재까지 기준금리를 연속 동결하였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인플레이션 완화와 고용 목표 달성에 대한 리스크 감소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이 결과, 뉴욕증시와 위험자산은 혼조세를 보였고, 채권금리는 하락했습니다.
▍양적긴축 속도의 완화
Fed는 보유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의 상환 규모 줄이는 속도를 완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6월 이후 유지된 600억 달러 국채와 최대 350억 달러 MBS의 재투자 축소 방침을 조정한 것으로, 인플레이션 완화와 경제 성장 증진을 목표로 합니다.
Fed는 이날 발표를 통해, 인플레이션은 지난해에 비해 완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최근 몇 달 간 인플레이션 목표치 2%를 향한 진전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어요. 하지만 그럼에도 장기적으로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대한 리스크가 감소했다 판단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없다!"
연준위 의장 파월은 이날 기준 금리를 발표하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떨어진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 것이며, 금리 인상도 현재로서는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은 크지 않고, 현재의 금리를 유지해야 인플레이션 2%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스태그플레이션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저성장 고물가 즉,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상황을 말하는데요. 현재 상황은 '스태그'도 아니고 '플레이션'도 아니며, 지난 해 성장률이 정말 높았고 앞으로도 좋을 것 같다고 전망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관련하여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해 두었으니 참고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스테그플레이션 위기? 2024년 1분기 미국 경제 분석
스테그플레이션 위기? 2024년 1분기 미국 경제 분석
최근 발표된 미국 1분기 경제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지수를 중심으로, 예상치 못한 경기 둔화 신호와 높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동시에 나타나며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가 고개를 들고 있습
darakstorys.tistory.com
▍2024년 금리 전망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Fed의 목표치인 2%로 떨어질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보류할 것이나, 금리 인상 가능성도 낮게 평가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다시 오를 가능성에 대해 현재로서는 주요 데이터에서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3개월 연속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후퇴했습니다. 올해 초만 하더라도 올해 금리인하 예상 횟수는 6~7회였으나 이제 1~2회로 줄어든 것입니다. 또한, 연준의 정책이 경제 과열을 얼마나 억제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올해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욱 낮아졌습니다.
이번 5월 FOMC 회의 결과와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은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향후 미국 경제 전망에 중요한 신호로 작용할 것입니다. 동결된 기준금리와 양적긴축 속도의 완화, 그리고 금리 인상 및 인하 가능성에 대한 입장은 2024년 미국 경제 및 금융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향후 인플레이션과 고용 목표 달성 여부, 그리고 글로벌 경제 동향에 따라 Fed의 금리 정책도 변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와 금융 시장의 동향에 계속 주목해야 합니다.
그럼,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꾸며, See you at the top!
ㅡ
함께 보면 좋은 글
스테그플레이션 위기? 2024년 1분기 미국 경제 분석
스테그플레이션 위기? 2024년 1분기 미국 경제 분석
최근 발표된 미국 1분기 경제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지수를 중심으로, 예상치 못한 경기 둔화 신호와 높은 인플레이션 우려가 동시에 나타나며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가 고개를 들고 있습
darakstorys.tistory.com
엔화 환율 34년 만에 최처지! 엔화 투자 방법
일본 엔화 가치가 3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4월 29일 한때 1990년 4월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160엔선을 넘어섰는데요. 이후 4엔 넘게 떨어지며 155엔까지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엔화
darakstorys.tistory.com
5월 미국 주식 주요 일정 및 주요 기업 실적발표 정리
5월 미국 주식 주요 일정 및 주요 기업 실적발표 정리
2024년 5월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4월 말이지만 벌써 초여름의 열기가 느껴지는데요. 5월에는 또 주식 시장에 어떤 이벤트들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5월 미국 주식 주요 일정과
darakstorys.tistory.com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학개미 매수 순위 TOP 50 보유 종목은? 순매수 상위종목 확인 방법 (1) | 2024.06.10 |
---|---|
금리 인하 시기 크게 오를 주식 종목은? 금리 민감주 정리 (0) | 2024.05.02 |
5월 미국 주식 주요 일정 및 주요 기업 실적발표 정리 (1) | 2024.04.27 |
테슬라 주가 장외시간 급등 이유와 테슬라 주가 전망 (1) | 2024.04.24 |
2024년 5월 공모주 청약 IPO 일정 총정리 (0) | 2024.04.23 |
댓글